본문 바로가기
Book Review

완벽한 공부법

by CoachDaddy 2019. 8. 5.

4/1/2018 ~ 4/8/2018

 

공부 - 학습에 대해서 논의하는 책중에서 최근에 나온 책이다. 공부하는 방법에 대한 고민들을 다양한 분야의 결과들을 통해 살펴본 책이다.  몇가지 내용들은 알고 있었던 것들도 있고, 새롭게 느껴지는 내용들이 있다. 유튜브 채널을 통해 책 내용에 대한 강의들이 많이 있다.

 

pp.62 메타이해에 관한 질문

  1.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거나 주의를 기울여 읽지 않았음을 알았을 때 그 부분을 다시 세심하게 읽는가?

  2. 짧은 단락을 읽고 난 뒤에 자신이 방금 읽은 내용을 자신의 말로 요약해 보는가?

  3. 책을 읽을 때 요약 정리된 부분이나 연습문제를 꼭 푸는가?

  4. 책에 나온 아이디어들을 서로 연계시켜 보려고 노력하는가?

  5. 자신이 모르는 용어기 나왔을 때 사전이나 검색을 통해 용어를 완전히 이해하려고 노력하는가?

  6. 시험공부를 할 때 자신이 어렵다고 여기는 부분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가?

  7. 읽은 자료들의 필요성에 대해 평가하고 적절히 분류해서 정리하는가?

 

pp.78  ... '지식의 저주'에 빠졌다고 표현한다. 내가 아는 것을 상대방이 모를 수도 있다는 것을 모른다. 메타인지가 나에 관한 지식과 관련됐다면 자식의 저주는 타인에 관한 지식과 관련 있다. 상대방이 무엇을 알고 있으며 어떤 상태이고 어떤 사람인지에 관한 것이다. 우리는 스스로에 대한 지식도 부족하지만, 상대방을 이해하는 데에도 부족한 면이 많다. 왜냐하면, 대부분 상대방이 아닌 내 중심적으로 사고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상대방이 나와 다름을 잊을 때가 많다.

 

pp.123 목표가 왜 중요한가?

  1. 목표는 현재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알려 준다. 목표가 없으면 행동을제대로 계획하기도 조직화하기도 힘들다.

  2. 목표는 가장 강력한 동기부여 중 하나다. 목표는 미래 사건에 대한 인지적 표상인데, 대부분 무언가를 성취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간절히 원한 것을 성취했을 때 없던 힘도 생기고 노력하고 인내할 가능성이 커진다.

  3. 목표는 현재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보도록 하다. 목표라는 준거점이 없었을 때에는 자신이 어느 정도의 위치에 있는지 구체적으로 그려 내기가 어렵다. 하지만, 기준으로 삼는 목표가 선명하다면 자신의 현재의 모습을 제대로 불 수 있다.

 

pp.125 자신의 능력을 높이려는 목표 

  • 학습 목표(learning goal)

  • 숙달 목표(mastery goal)

  • 과제개입목표(task-involved goal)

  • 과제중심목표(task-focused goal)

 

능력을 입증하려는 목표

  • 수행목표(performance goal)

  • 자아개입목표(ego-involved goal)

  • 능력중심목표(ability-focused goal)

 

성장 목표를 가진 사람은 공부 그 자체에 가치를 두고 자신의 능력을 향상하는 데 목적을 두기 때문에 '노력'으로 성장한다는 믿음이 있다. 또한, 실수나 실패를 했을 때 좌절하기보다는 무언가를 배우는 경향이 강하며, 더 큰 도전을 하고 그 도전에 제대로 응전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구사하려 한다. 실제 연구에 따르면 성장 목표를 추구하는 학생들은 성공은 노력으로 가능하다고 믿으며, 학업에서 맞닥뜨리는 도전을 받아들이며 스스로 질문하기, 요약하기 같은 효과적인 공부전략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증명 목표를 가진 사람에게 공부는 자신의 능력을 주변 사람들에게 입증하는 것이 목표이다. 과제의 결과는 노력보다 재능에 따라 달라진다고 보는 경향이 강하다.  

 

pp.129 독창성은 실패를 먹고 자란다. 필연적을 도전을 원한다. 하지만, 증명 목표에 휩싸인 신동들은 실패를 두려워하게 된다. 자신의 재능 없음을 드러내는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결국, 무모하게 보이는 도전을 피하게 된다.

 

"과감한 시도로 인간은 잠시 자신의 위치를 잃을 수 있다. 그러나 과감한 시도가 없으면 인간은 자기 자신을 잃는다." - 쇠란 키에르케고르

 

pp.131 크고 위험하고 대담한 목표 - BHAG - Big Hairy Audacious Goal 

... 왜 매력적인 장기 목표가 사람의 행동을 이끌까? 왜냐하면, 크고 위험하고 대담하고 매력적인 목표는 사람의 감정을 움직이기 때문이다.

 

pp.135 우리는 위대한 꿈은 꾸면 안 되는가? 그렇지 않다. 우리는 위험하고 대담한 목표를 가져야 한다. 하지만 그 목표를 그대로 두어서는 안된다. 그 목표를 분해해야 한다. 구제적이고(specific), 측정 가능하며(measurable), 성취할 수 있고(attainable), 현실적이며(realistic), 시간 계획(timeline)이 가능한 목표로 말이다.

 

pp.141 최소 일주일정도 자신이 어떻게 시간을 쓰는지 매시간 적어 보길 바란다. 그리고 더 나아가 그 시간에 대한 자신의 평가도 적어 보자. 그렇게 일주일 이상의 데이터를 확보하면 생각보다 활용할 시간이 많음을 알게 되고 양적인 측면과 아울러 질적인 측면에서도 시간을 어떻게 활용할지 알게 될것이다. 결국, 자신의 활용 시간을  제대로 파악한다면 그 시간에 실현시킬 단기 목표를 세울 수 있으며 이는 성취 확률을 높여줄 것이다.

 

pp.188 <1만시간의 재발견>  Peak: Secrets from the New Science of Expertise by Anders Ericsson

 

pp.201 의식적인 연습의 7가지 특징 - 공부에 적용

  1. 일정 수준 이상 체계적으로 정립된 방법론으로 연습해야 한다. 

  2. 자신의 능력보다 조금 더 어려운 작업을 지속해서 해야 한다.

  3. 구체적이고 명확한 목표로 연습한다.

  4. 신중하고 계획적이다.

  5. 기초를 충실하게 마스터해야 한다.

  6. 심성 모형을 만들어 내는 한편 거기에 의존한다.

  7. 피드백과 피드백에 따라 행동을 변경한다.

심상모형 - Focus - Feedback - Fit

 

pp.209 <Deliberate Practice and Performance in Music, Games, Sports, Education, and Professions: A Meta-Analysis> 

<Do You Get to Carnegie Hall? Talent> - N.Y. Times

 

pp.214 ... 올바른 피드백을 받고 싶다면 그 시작은 자신의 부족함을 부끄러워하지 않고 질문하는 용기를 갖는 것이다. 꾸준히 하는 것은 시간과의 싸움이다. 막연하게 열심히 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 확보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pp.221 ... 평소 때는 '잘했다'라는 칭찬을 해 주는 부모가 유독 공부할 때 좋지 않은 표정이 된다면 아이는 어떻게 될까? 특히나 부모는 아이들이 전적으로 의지하고 사랑하는 사람이 아닌가. 아이들은 감정이 상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감정이 반복된다면 결국 아이는 독서는 기분이 좋지 않은 행동으로 받아들여 자발적으로 할 가능성이 떨어진다. 왜냐하면, 감정은 학습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pp.223 ... 인간은 대체로 보상을 통해 얻는 행복보다 손실을 통해 겪는 고통이 2~2.5배나 크다. -- 행동경제학이론에서 설명... 

 

pp.264 대인관계를 높이는 7가지 기술

  1. 일관성 - 긍정과 부정이 교차하는 양면적 관계는 불확실성을 증가시키고 관계의 불안정함을 만든다.

  2. 존중 - 존중 받고 싶다면 존중해야 한다.

  3. 경청 - 경청하는 사람은 말하는 사람의 호감을얻는다.

  4. 조언 - 조언을 구하는 사람이 발전하는 사람이다.

  5. 겸손 - 겸손은 타인의 마음을 헤아리는 능력을 올려 준다.

  6. 칭찬 - 칭찬을 하면 타인의 호감을 받는다.

  7. 실수 - pratfall effect - 상대방의 약점과 실수를 접할때 우리는 그를 더 인간적으로 느끼고 호감을 느낀다.

pp. 366 <큐리어스> 이언 래스리 <Curious: The Desire to Know and Why Your Future Depends On It>

... 호기심이란 '정보 간극'에 대한 반응이라는 이론을 제시했다.

 

pp. 380 몇가지 독서법

  1. 만독: 책 한권을 완전히 해부하는 것을 뜻한다. 한 책에 관련된 가능한 모든 정보들을 모아서 분석하며 읽는 것

  2. 관독: 하나의 관점을 갖고 책을 읽는 것. 책이 원래 속해 있는 영역에 관계 없이 자기가 원하는 관점을 적용하여 읽는 것

  3. 재독: 일정 시간 이후에 읽었던 책을 다시 읽는 것. 재독은 과거의 생각과 현재의 생각의 차이를 알 수 있고, 경험을 반추할 수 있다.

  4. 낭독: 글을 소리내어 읽으면, 어색하고 이상한 부분을 발견하기 쉬어진다. 

 

pp. 388 독서 습관을 만드는 7가지 방법

  1. 스마트폰과 멀어지기: 독서하는 시간동안은 관심을 주지 않기

  2. 특정 장소: 독서하기에 최적의 장소를 찾는다. 

  3. 인지부조화 이용하기: 하기 싫어도 그냥 읽기. 지속적으로 읽는 경험은 독서에 대한 친근감을 만들어 준다.

  4. 책을 한꺼번에 많이 사기: 읽고 싶은 책들을 사서 보이는 곳에 두면, 독서를 강제하게 된다.

  5. 독서모임: 독서모임은 책을 읽어야 하는 의무감을 가져온다.

  6. 여러권 동시에 읽기: 한 책에 몰입하지 않고, 여러책을 동시에 읽기. 책 사이를 이동하면서 피로감을 줄이고 부담을 줄일 수 있다.

  7. 다독가를 만나기: 다독가와 친분이 생기면, 책을 소개 받을 수도 있고 자극을 받기도 좋다.

 

pp. 396 한 민족의 정신을 가장 직접 표현하는 것은 그 정신이 만들어 낸 다른 어떤 것이 아니라 바로 언어의 구조다. - 키토

 

pp. 403 .. 매일매일 영어 문장을 소리 내 읽고 한두 문장이라도 암기한다면, 암기한 문장이 다음 날 의식적 기억에서 지워지더라도 그 흔적은 계속해서 쌓이게 된다. 그렇게 꾸준히 공부해 나간다면, 문법 규칙이 자연스럽게 내재화되는 단계에 이르게 될 것이다.

 

pp. 414 ... 최소 '150단어/1분' 속도로 글을 읽어야 기본적인 대화를 무리 없이 이해할 수 있다는 뜻이다.

 

pp. 429 Steven Pinker: What our language habits reveal (TEDGlobal 2005)

<언어본능> 스티븐 핑커 <Language Instinct>

... 사람의 생각 자체는 특정 모국어가 아니라 생각 고유의 언어로 이뤄진다. 이것이 바로 '사고의 언어(Language of Thought)'이고, 다른 말로 '멘탈리즈'라고 한다.

 

pp. 438 .. 일정 시간 이상 임계점을 넘겨서 공부하지 않으면 절대 실력 향상이 될 수 없다.

 

pp. 473 <자신있게 결정하라> - 칩 히스, 댄 히스 <Decisive How to Make Better Choices in Life and Work>

'WRAP 프로세스'

  • 선택안은 충분한가(Widen your options)?

  • 검증의 과정은 거쳤는가(Reality-test your assumptions)?

  • 충분한 심리적 거리는 확보했는가(Attain distance before deciding)?

  • 실패의 비용은 준비했는가(Prepare to be wrong)?

 

pp. 493 <정치학(Politics)> - 아리스토텔레스

"사람들이 전부 모이면 설사 개별적으로는 그렇지 않더라도 집단적으로는 소수의 최고 인재의 자질을 능가할 것이다. 논의 과정에서 많은 사람이 참여하면 각 개인이 지닌 선량함과 도덕적 신중함이 그 과정에 반영될 것이다. 사람들은 저마다 관심 분야가 다르므로 결국 모두가 모이면 문제의 모든 측면을 고려할 수 있다."

 

pp. 495 <와이저> - 캐스 선스타인

집단 논의가 집단 구성원들에게 미치는 두가지 영향

  • 정보 신호: 다른 구성원이 공개적으로 말하는 정보를 존중하여, 자기의 의견을 밝히지 못하는 상황

  • 사회적 압력: 사회적인 압력을 느끼고 그로 인한 불이익을 피하려고 침묵을 택하는 것

집단 논의의 실패원인

  1. 오류 확대: 집단은 개인보다 대표성 휴리스틱 이나 프레이밍 효과에 취약하다.

  2. 폭포 효과: 논의 초기의 내용이 결정에 더 큰 영향력을 가진다

  3. 극단화: 논의하는 구성원이 선호하는 방향으로 더 극단화된 결론이나는 현상

  4. 정보누락: 소수 구성원만 알고 있는 정보의 가치를 저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