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이 통제에 종속되었을 때, 행동하는 사람의 본질적인 목표는 더 이상 행동 그 자체가 되지 않습니다. 그는 먼저 통제를 예상하고 통제 수단의 실패를 생각합니다. 학습에서의 통제는 단지 특별한 경우일 뿐이며 매우 보편적인 견해를 보여주는 놀라운 증명입니다.
- 폴 발레리: Paul Valéry <지성의 결산> Universite Des Annales, 1935. 1. 16 , _lbid., le bilan de l'intelligence.
'규제할 목적으로 압력을 가하면 관찰된 모든 통계적 규칙성은 거짓이 된다.' 혹은 더 간단하게 '측정값이 목표가 되면 더 이상 좋은 측정값이 되지 않는다'는 주장이었다. 발레리의 교훈을 경제 정책에 적용한 굿하트의 법칙은 그 자체로 정치적 목표가 된 실업률, 구매력, 물가 지수, GDP 및 성장이 어떻게 빈약한 통계 지표가 되었는지 설명한다.
출처: 숫자를 사용한 조작의 역사 p. 193
- https://en.wikipedia.org/wiki/Goodhart%27s_law
- There ought to be a law! Campbell versus Goodhart
https://rss.onlinelibrary.wiley.com/doi/10.1111/j.1740-9713.2018.01205.x
https://en.wikipedia.org/wiki/Campbell%27s_law
발레리의 아이디어를 경제학에 도입해서 설명했다는 굿하트의 이론이 더 많이 알려진 것은 미국 심리학자보다는 영국 경제학자의 말이 더 권위를 가졌던 것 같다. 아니면, 심리학의 영역이 요즘에 대중들의 관심을 받기 시작했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이런 내용은 많은 여론조사, 통계를 다루는 경우에 주의해야할 내용이다. 정치 여론 조사에서 나오는 Bandwagon Effect 라고 설명하지만, 그 저변에는 이런 굿하트의 법칙이 적용되고 있는 것으로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 https://en.wikipedia.org/wiki/Bandwagon_effect
'Idea Memo'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발전 (1) | 2024.12.23 |
---|---|
After ChatGPT (0) | 2023.02.11 |
Netflix position (0) | 2022.04.26 |
Note idea memo 1 (0) | 2014.02.17 |
Pre Incubating (0) | 2012.03.30 |